전체 글242 우리 몸속의 장기들을 만들고 유지하는 줄기세포 혈관신생이 장기에 영양을 공급할 혈관을 새로 만든다면, 무엇이 몸속의 장기들을 만들고 유지하는 걸까요? 그것은 바로 줄기세포입니다. 줄기세포의 다능성 줄기세포는 우리 몸에 꼭 필요한 요소입니다. 만약 줄기세포의 기능이 갑자기 중단된다면 그로부터 일주일 내에 사망하게 될 정도입니다. 줄기세포는 태아기에서부터 신체와 건강을 유지하는 데 핵심적인 역할을 합니다. 우리는 말 그대로 줄기세포에서 만들어집니다. 정자와 난자가 만나고 5일이 지나면 자궁에서 약 50개에서 100개의 배아줄기세포로 이루어진 작고 동그란 배아로 발달하면서 생명이 시작됩니다. 이런 줄기세포들은 다능성이어서 근육에서 신경, 피부, 뇌, 안구 등 몸 안에서 어떤 세포나 조직으로든 바뀔 수 있습니다. 수정을 통해 만들어진 '배아'가 12주 동안.. 2024. 3. 6. 과도한 혈관신생이 미치는 영향 과도한 혈관신생이 미치는 영향은 암 외에도 시력 손실을 비롯한 다른 많은 질병을 불러일으킵니다. 과도한 혈관신생과 시력 눈이 건강할 때 우리가 눈앞의 것을 볼 수 있는 이유는 빛이 혈관에 방해받는 일 없이 수정같이 맑은 체액을 거쳐 망막에 닿고, 뇌에 인식되기 때문입니다. 눈의 혈관신생은 아주 엄격하게 통제되어서 망막의 혈관을 감싼 내피세포는 보통 평생 단 두 번만 분열됩니다. 하지만 전 세계적으로 65세 이상 노인들의 시력 손실의 주원인인 노인 황반변성 AMD(노화에 따른 시력 감퇴)과 당뇨병으로 인한 시력 손실 모두 혈관신생으로 비정상적으로 얽힌 혈관 다발이 생기면서 체액이 유출되고 출혈이 생기면서 발생합니다. 불필요한 혈관신생에 따른 이런 끔찍한 결과로 시력이 파괴되는 것입니다. 다행히도 이제는 F.. 2024. 3. 6. 혈관신생 억제 미세한 암 조직이 몸에서 더 이상 자라지 않는 주된 이유는 몸의 선천적인 혈관신생 억제 기능 때문입니다. 이런 보호 기능은 악성 종양의 혈액 공급을 차단함으로써 종양의 성장을 억제합니다. 종양이 혈관신생 방어체계를 장악한다면? 하바드 의대 연구원들이 1974년에 이미 발견했듯이, 종양에 영양을 공급하는 혈관이 없으면 암세포는 성장을 멈추고 무해한 상태로 유지됩니다. 우리 몸의 면역 체계는 나중에 결국 그런 미세한 암세포를 찾아내서 제거합니다. 하지만 시간이 흐르면서 상처 치유 과정에 맞먹는 엄청난 양의 성장인자 신호가 분비되면서 암이 존재하던 아주 작은 영역이 방어체계를 압도해버리기도 합니다. 연구실에서의 실험을 통해서, 작은 암세포 덩어리에 혈관이 새로 생기기만 하면 종양이 기하급수적으로 자라서 혈관신.. 2024. 3. 6. 혈관주위세포와 혈관신생 체계 새롭게 형성된 혈관은 너무 약해서 혼자 힘으로는 혈류를 지탱할 수가 없습니다. 그래서 혈관주위세포(pericyte)의 도움을 받으며 발달합니다. 혈관주위세포 혈관주위세포는 몇 가지 방식으로 혈관의 발달을 돕습니다. 우선 튜브 양말(뒤꿈치가 따로 없는 신축성이 강한 양말)로 발목을 감싸듯 혈관주위세포가 내피의 관 주위를 감쌉니다. 그와 동시에 혈관주위세포는 혈관신생을 늦춰서 혈관이 심각하게 과잉 생성되지 않도록 방지합니다. 현관주위세포들은 모양 변형이 가능합니다. 일단 새로운 혈관에 자리를 잡으면, 촉수처럼 생긴 팔로 내피세포를 감싸 안습니다. 혈관주위세포 1개는 한 번에 최대 20개의 세포를 관장하며, 화학 신호를 방출해서 혈관신생 과정에서의 광분한 활동을 가라앉힐 수 있습니다. 새로운 혈관들과 생존인자.. 2024. 3. 6. 상처가 아물기 위한 과정 혈관신생 방어체계는 인간을 포함해서 순환기관(circulatory system)이 있는 모든 동물들을 보호합니다. 수술이나 외상 등으로 우리 몸에 깊은 상처가 생기면, 그 즉시 상처 부위에서 변화가 시작되고, 상처가 완전히 아물 때까지 계속해서 변화 과정이 진행됩니다. 딱지를 섣불리 벗겨내면? 만일 피가 흥건히 날 정도로 무릎이 심하게 까지고서 나중에 딱지가 졌을 때 섣불리 딱지를 벗겨낸 경험이 있다면, 그 과정이 진행되는 것을 직접 목격한 셈입니다. 딱지 밑에 있는 조직은 선홍색이며 반들거립니다. 그 붉어진 부위에서는 새로운 혈관 수천 개가 만들어져서 상처 입은 조직을 건강하게 회복시킵니다. 혈관신생과 성장인자 그것이 바로 혈관신생 과정의 예입니다. 혈관신생은 상처 입은 조직에서 출혈이 발생하는 시점부.. 2024. 3. 5. 모세혈관과 혈관신생 우리 몸에는 산소와 영양소를 운반해서 세포들의 생명을 유지시키는 약 10만 킬로미터에 이르는 혈관이 있습니다. 이런 혈관은 건강한 조직에 영양을 공급하고 질병으로부터 몸을 보호하는 생명의 관입니다. 몸속의 혈관을 일렬로 늘어 세우면 지구를 무려 두 바퀴나 돌 수 있는 길이가 됩니다. 그런데 놀랍게도 심장에서 뿜어져 나온 혈액이 몸 전체를 돌아서 다시 심장으로 돌아오는 데에는 단 60초 밖에 걸리지 않습니다. 모세혈관 혈관 중에 가장 미세한 것은 모세혈관이라고 불립니다. 머리카락보다도 얇은 이런 모세혈관은 몸속에 약190억 개가 있습니다. 모세혈관은 세포로 전달되는 혈액 수송 체계의 최종 연결고리이기 때문에 세포들과 특별한 관계를 유지합니다. 그리고 혈관의 말단에 위치하기 때문에 몸의 모든 세포들은 모세혈.. 2024. 3. 5. 이전 1 ··· 37 38 39 40 4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