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건강과 음식

줄기세포 손상의 원인2 - 당뇨병

by 깨알정보박사 2024. 3. 8.

줄기세포 손상은 대기오염, 담배, 술에 최대한 노출되지 않도록 주의하면 어느 정도는 방지할 수 있지만, 그 밖의 위험 요인들 중에서는 피하기가 좀처럼 어려운 것들도 있습니다. 예를 들면 노화나 당뇨병과 같은 것들입니다.

 

줄기세포 손상에 대한 방지하기 어려운 위험요인

가령 노화는 재생 능력을 끊임없이 약화시킵니다. 나이가 들면 자연적으로 골수 안의 줄기세포 수가 줄어듭니다. 세월이 흐를수록 줄기세포 보유량이 격감할 뿐 아니라 남은 줄기세포들도 젊을 때에 비해 활동성이 떨어집니다. 혈중 콜레스테롤 수치 상승 역시 줄기세포의 기능을 손상시킵니다. 단 모든 콜레스테롤이 다 그런 것은 아닙니다. 좋은 콜레스테롤로 알려진 HDL 콜레스테롤은 혈관내피 전구세포의 예정된 세포사를 늦춥니다. HDL콜레스테롤을 높이는 식이 요법을 하면 이런 세포들을 보호할 수 있습니다. 그렇게 되면 건강에 유익한 대가가 따릅니다. 혈관내피 전구세포는 죽상동맥경화증을 예방하고, 혈류를 감소시키는 지방 플라크가 혈관 벽에 축적되는 것을 방지하고, 혈관의 내벽을 치효합니다. HDL을 좋은 콜레스테롤로 여기는 이유 중에는 줄기세포에 의한 이런 혈관 보호 작용 효과도 있습니다.

 

당뇨병과 줄기세포 손상

만성질환도 줄기세포에 해로운 영향을 줄 수 있습니다. 당뇨병은 줄기세포에 치명적입니다. 당뇨가 있는 사람들은 줄기세포 수가 적고, 그나마 있는 줄기세포들도 제 기능을 못합니다. 고혈당이 문제를 일으키기 때문입니다. 고혈당 환경에 노출된 줄기세포는 조직을 재생하는 능력이 떨어집니다. 정상적인 경우처럼 복제해서 수를 늘릴 수가 없고, 몸속에서 제대로 이동하기가 힘들어져서 새로운 기관을 만드는 데 더 이상 기여하지 못하게 됩니다. 게다가 정상 줄기세포들보다 생존 인자도 더 적게 분비합니다. 연구원들은 고혈당이 당뇨가 없는 사람의 줄기세포에도 영향을 줄 수 있다는 사실도 알아냈습니다. 이런 사실은 우리가 당 섭취에 주의해야 할 이유를 하나 더 덧붙입니다.

혈당 검사
혈당 검사

1형 당뇨병과 2형 당뇨병이 줄기세포 손상에 미치는 영향

줄기세포 손상은 1형 당뇨병과 2형 당뇨병 모두에서 나타납니다. 1형 당뇨병은 몸의 면역 체계가 당의 대사를 적절히 조절하는 데 필요한 인슐린을 만드는 세포들을 파괴하는 병입니다. 2형 당뇨병도 마찬가지로 혈당 대사와 관련한 문제이지만, 자가 면역 때문이 아니라 유전, 비활동적인 생활습관, 비만 등으로 몸이 인슐린에 제대로 반응하지 않거나 인슐린을 필요한 만큼 만들어내지 않으면서 생긴다. 뉴욕대학교의 한 연구는 2형 당뇨병이 있을 때 혈관내피 전구세포의 기능이 50% 가까이 손상되며, 혈당이 정상 수준으로 관리되지 못할 경우 그보다 큰 손상이 나타난다고 밝혔습니다. 또 연구원들이 당뇨병이 있는 사람들의 혈관내피 전구세포의 기능을 시험했을 때, 그 전구세포들이 혈관 형성에 참여할 확률은 당뇨가 없는 사람들보다 2.5배 낮았습니다. 1형 당뇨병 환자들의 줄기세포를 관찰했던 네덜란드의 연구에서도 그와 비슷한 손상이 확인됐습니다.

 

당뇨병이 4억 2,200만 명 이상이 앓고 있는 전 세계적인 질병이며, 그로 인해 매년 160만 명이 목숨을 잃고 있다는 점을 고려하면, 줄기세포의 손상은 사람들에게 대단한 영향을 끼치는 문제임을 알 수 있습니다. 당뇨병은 심장병, 뇌졸중, 실명, 신장병, 만성 궤양, 하지 절단 장애의 주요 근본 원인인데, 이 모두가 줄기세포 기능 부전과 관련이 있는 의학적 부작용입니다. 이런 상황에서 당뇨병, 고지혈증, 노화로부터 줄기세포 기능을 보호하거나 개선하는 데 도움이 되는 방법은 말 그대로 생명을 구하는 수단이 될 수 있습니다.

'건강과 음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마이크로바이옴  (0) 2024.03.09
줄기세포의 수와 기능이 강화될 때의 이점  (0) 2024.03.09
줄기세포 손상의 원인  (0) 2024.03.07
줄기세포와 상처2  (0) 2024.03.07
줄기세포와 상처  (0) 2024.03.0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