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깨알 정보62

풍비박산 풍지박산 풍비박살 풍지박살 맞춤법 뜻 많은 사람들이 헷갈리는 사자성어입니다. 풍비박산, 풍지박산, 풍비박살, 풍지박살 중에 어떤 것이 맞는 표현일까요?오늘은 헷갈리기 쉬운 해당 사자성어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풍비박산, 풍지박산, 풍비박살, 풍지박살 결론부터 말하자면 풍비박산(風飛雹散)이 올바른 고사성어입니다. 바람 풍(風), 날 비(飛), 우박 박(雹), 흩을 산(散)을 사용하며 '바람에날려 우박이 흩어진다'는 뜻을 비유적으로 나타낸 말입니다.산산이 부서져 사방으로 날아가고 흩어지는 모양을 나타내며, 전쟁에 패한 군사들이 뿔뿔이 흩어지며 도망갈 때, 가정이나 회사가 망하여 해체될 때에 사용합니다. ※ 기타 '풍지박산', '풍비박살', '풍지박살'은 '풍비박산'을 잘못 쓴 경우입니다. 2024. 6. 12.
흐드러지다 흐트러지다 뜻 차이 '흐드러지다'와 '흐트러지다'의 뜻과 차이점을 아시나요? 오늘은 비슷하게 보이지만 다른 의미인 헷갈리기 쉬운 두 단어의 뜻과 차이점에 대해서 자세하게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흐드러지다  1. 매우 탐스럽거나 한창 성하다.예시) 꽃이 흐드러지게 피었다. 2. 매우 흐뭇하거나 푸지다.  흐트러지다  1. 여러 가닥으로 흩어져 이리저리 얽히다.예시) 머리칼이 흐트러져 다시 가다름다. 2. 옷차림이나 자세 따위가 단정하지 못한 상태가 되다.예시) 자세가 흐트러져서 다시 바로잡았다. 3. 정신이 산만하여 집중하지 못하다. 4. 일, 기강, 분위기 따위가 혼란스럽고 무질서하게 되다.  이처럼 '흐드러지다'와 '흐트러지다'는 비슷한 글자이지만 그 뜻은 전혀 다릅니다. 헷갈리기 쉬우므로 잘 구별해서 바르게 사용할 수 있.. 2024. 6. 3.
꽂다 꽂히다 뜻 꼽다 끼우다 차이 우리가 자주 사용하는 '꽂다'와 '꼽다'의 차이를 아시나요? 오늘은 헷갈리기 쉬운 '꽂다'와 '꼽다' 그리고 '끼우다'의 차이점과 '꽂히다'에 대해서도 자세히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꽂다 꽂히다 뜻  동사로 물리적인 행위를 내타내는 것 중에 하나입니다. 보통 점이나 선처럼 매우 좁은 곳에 어떤 물건을 찔러 고정시키는 행위를 나타냅니다. '꽂다'라는 행위에 '고정'의 의미도 포함되어 있습니다. 그래서 어떤 물건을 꽂았다면 고정의 의미도 포함하므로 만약에 잘 고정되지 않았다면 "잘 꽂히지 않았다"라고 표현하기도 합니다.더 나아가서 '시선을 고정하다'라는 의미로 쓰이기도 합니다.  '꽂히다'는 '꽂다'의 피동사입니다.'뽑다'는 '꽂다'의 반의어입니다. 꽂다 꼽다 끼우다 차이 꼽다'꼽다'는 1. 수나 날짜를 세.. 2024. 6. 1.
모바일 신분증 발급방법 1분완료 모바일 신분증은 오프라인뿐만 아니라 온라인환경, 비대면 환경에서도 사용 할 수 있는 통합형 신분증입니다. 지갑을 가볍게, 주머니를 가볍게 해줄 모바일 신분증의 발급방법에 대해서 따라하기 쉽게 발급받는 과정들을 사진으로 담았습니다. 그대로 따라하시면 빠르게 발급 받으실 수 있을 것입니다.PASS 다운로드모바일 신분증 발급방법은 생각보다 간단합니다. 어플을 다운로드 받고 어플에서의 진행절차를 그대로 진행하시면 쉽게 모바일 신분증을 발급받을 수 있습니다.모바일 신분증을 발급 받으려면 먼저 PASS 어플을 필수적으로 다운로드 받으셔야 합니다.본인이 가진 휴대전화의 운영체제에 맞게, 가입한 통신사에 맞게 아래를 통해 다운로드 받으시기 바랍니다. 안드로이드안드로이드 SK PASS 다운로드안드로이드 KT PASS 다.. 2024. 6. 1.
내로남불 뜻 내로남불이란 말을 들어보셨나요? 요즘 많이 사용하고 있는 용어인데요, 고사성어나 사자성어로 착각하시는 분도 계신데 둘 다 아니고 신조어입니다. 오늘은 내로남불의 정확한 뜻과 사용방법, 대체할 수 있는 사자성어까지 자세하게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내로남불 뜻  결론부터 말하자면 '내로남불'은 내가하면 로맨스, 남이 하면 불륜의 줄임말입니다. 즉, 본인에게는 관대하지만 본인 이외의 타인이나 집단이 비슷한 행동을 한다면 윤리적, 이성적으로 비판하는 이중잣대의 모습을 취하는 것을 비꼬는 용어입니다. 나는 해도 되지만 남은 해서는 안된다는, 어찌보면 이기주의의 모습을 적절히 표현한 용어이기도 합니다. 사용방법보통 자신에게 관대하고 비슷한 타인의 행동을 비판하는 경우에 사용합니다. 다시말해  누군가의 이중잣대 모습이.. 2024. 5. 31.
부의 한자 조의 근조 차이 지인의 가족이 상을 당했을때 부의금을 내게 되는데요. 부의봉투의 앞면에 부의, 조의, 근조 등을 한자로 씁니다. 고인을 떠나보내는 엄중한 자리에 예의에 어긋나지 않도록 올바른 단어와 한자를 사용하여 슬픔을 함께 나눌 수 있다면 좋겠습니다. 더불어 부의, 조의, 근조의 차이에 대해서도 자세하게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부의부의(賻儀)의 사전적 의미는 상가에 부조로 보내는 돈이나 물품. 또는 그런 일을 의미합니다.아래는 부의, 근조, 조의의 한자입니다. 봉투 앞면에 쓰시면 됩니다.다운로드도 가능하니 아래를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주의할 점은 '부의'와 '조의'에서 사용하는 '의'의 한자가 다르다는 점입니다. 부의는 '거동 의(儀)'를 사용하는 반면, 조의에서는 '뜻의(意)'자를 사용합니다. 부의, 조의, 근.. 2024. 5. 2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