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다식목일을 들어보셨나요? 육지에서 나무를 심는 식목일처럼 바다에서도 해초와 바닷말(해조류)를 심는 바다식목일이 있다고 합니다. 오늘은 '바다식목일'의 의미와 '바다의 날'과의 차이점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바다식목일 의미와 필요성, 바다의 날과 차이
바다식목일 의미
바다식목일이란?
육지에 나무를 심듯이 바다에 해조류를 심는 날로 바닷속 생태계 보호의 중요성과 바다사막화의 심각성을 국민들에게 널리 알리고, 바다숲의 가치와 조성 성과에 대한 인식 및 참여 확대를 위해 2012년 지정된 법정 기념일입니다. 2012년 1월 수산자원관리법이 개정되면서 세계 최초로 대한민국에서 바다식목일이 제정되었으며, 2013년 5월 10일, 제1회 바다식목일을 시작으로 매 해마다 5월 10일에 바다식목일을 기념하고 있습니다.
바다식목일의 필요성
과거 우리 바다에 서식하던 해조류가 점점 사라지고, 물고기들이 먹을 수 없는 석회조류가 암반을 뒤덥는 일명 '바다 사막화 현상'이 진행되고 있습니다.
갯녹음 현상이라고도 불리는 바다 사막화 현상의 원인은
- 과도한 연안개발
- 환경 오염
- 기후 변화
- 조성동물(성게, 고둥 등)의 증가
등이 원인이며 다시 바다를 살리기 위해 바다숲을 조성합니다.
바다의 날과 차이
바다의 날은 해양을 둘러싼 급격한 국제환경의 변화에 능동적으로 대처라고 세계 해양 강국으로의 부상을 위해 1996년 제정한 법정 기념일입니다.
바다식목일이 바닷속 생태계 보호가 목적이라면 바다의 날은 국민의 해양사상을 고취하고 관계 종사자들의 노고를 위로하는 것이 목적입니다.
바다식목일 관련 한국수산자원관리공단의 역할
1. 범국민적 관심속에서 바다숲조성으로 바다생태계 조기 회복
-갯녹음 해역 복원을 통한 조속한 수산자원 회복, 증강 유도
2.바다식목일 기념행사 등의 기술적 지원체계 구축
-해역별 식목대상 해조류, 바다식목 기법 등 기술적 지원
3. 전세계 바다녹화사업 손도를 위한 국제행사화(중기추진과제)
-중장기적으로 해외 한인단체 등과 연계하여 국제행사화 추진(지)
2024년 제12회 바다식목일 기념행사
2024년 5월 10일에 개최될 예정인 제12회 바다식목일 기념행사 장소로 경상북도 포항시가 선정되었습니다.
해양수산부는 바다숲에 대한 지자체와 지역 어업인들의 관심과 참여 확대를 위해 정부 주도의 행사에서 벗어나 지자체와 공동으로 행사를 추진하기 위해 지난 2023년 12월 19일부터 2024년 1월 19일까지 전국 연안 지자체를 대상으로 제12회 바다식목일 기념행사 개최지 유치를 위한 공모를 실시하였고, 타당성조사, 검토 후 최종적으로 경상북도 포항시를 선정하였습니다.
바다숲 조성
1.적지조사
바다숲 조성이 필요한 적지를 먼저 조사합니다.
2.정밀조사
해양환경과 서식생물을 조사하여 최적의 바다숲 조성 방법을 선정합니다.
3.바다숲 만들기
-바다숲 조성
해중림초, 수중저연승, 모조주머니 등으로 해조류를이식합니다.
-조성지 환경개선
바다 속에 있는 쓰레기, 폐어구 등을 수거합니다.
-천연해조장 보전
연안암반의 무절석회조류를 긁어내어 해조류가 부착할 수 있는 기반을 만들어 줍니다.
4. 바다숲 가꾸기
해조류를 먹는 성게, 고둥, 군소, 소라 등을 잡아내고, 지속적인 관리로 바다숲을 가꿉니다.
바다숲 조성에 적합한 해조류
감태
갈조류 미역과에 속하는 대형 다년생해조류로 감태는 수산생물의 서식처로서도 중요하며, 전복, 소라 등 초식동물의 먹이가 됩니다. 한국과 일본의 태평양 연안 등 난류해역에 서식합니다.
모자반
갈조류 모자반과에 속하는 대형 해조류로 모자반은 열대에서 한대까지 폭넓게 분포하며 우리나라에 약 30여 종이 서식합니다.
다시마
갈조류 다시마과에 속하는 대형 해조류로 원래 원산 이북에만 분포하고 있었으나 1960년대 말 일본 훗카이도 산 다시마가 도입되어 동해안과 남해안에 분포하며, 난류와 한류가 겹쳐지는 곳에 서식합니다.
잘피
잎과 땅속줄기 관다발 조직이 있는 해초류로 꽃이 피는 현화식물입니다. 잘피는 연안 소형동물의 서식처로도 이용됩니다.
바다숲의 6대 기능
1. 온실가스 저감
수중, 대기 중의 이산화탄소 흡수로 온실가스 저감,
온대림, 열대우림보다 우수한 이산화탄소 제거 효율
해양으로부터 산업용 희귀금속(우라늄, 리튬 등) 등 흡수(회수) 및 공급
용존산소 증대, 수중 오염물질 제거 등을 통한 해양환경 정화
2. 수산생물 서식처 제공
수산생물 번식을 위한 산란, 보육, 성육장
해조류식성 수산생물의 먹이
제1차 생산자(해양생태계)로서 연안 기초생산력 증대
해양생산력 및 어업인 소득 증대
3. 청정바이오 에너지원
바이오에탄올 등 청정바이오에너지 생산원(해조류바이오매스 공급)
-갈조류 1톤에서 344kg 청정연료 생산
-목질계 바이오매스와 비교하여경제성 확보 가능
4. 웰빙식품
비타민, 미네랄(요오드, 마그네슘 등) 등 인체 유용성분 다량 함유
고단백, 저칼로리 다이어트식품
5. 오염물질 정화
질소, 인 등 중금속 제거
6. 유용가능성 물질 공급
의약품, 식용, 산업용 등 유용 기능성 물질 추출원
-후코이단, 씨놀, 알긴산, 자외선 차단제
'깨알 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만 나이 계산기 총정리 (0) | 2024.05.22 |
---|---|
유튜브 바로가기, 유튜브 홈페이지 바로가기 (0) | 2024.05.10 |
어버이날 선물 best10 추천 (1) | 2024.05.03 |
어버이날 노래 어머님은혜 어머니의마음 가사 악보 동영상 듣기 (1) | 2024.05.02 |
24절기 입하 뜻 (0) | 2024.04.3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