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인의 가족이 상을 당했을때 부의금을 내게 되는데요. 부의봉투의 앞면에 부의, 조의, 근조 등을 한자로 씁니다. 고인을 떠나보내는 엄중한 자리에 예의에 어긋나지 않도록 올바른 단어와 한자를 사용하여 슬픔을 함께 나눌 수 있다면 좋겠습니다.
더불어 부의, 조의, 근조의 차이에 대해서도 자세하게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부의
부의(賻儀)의 사전적 의미는 상가에 부조로 보내는 돈이나 물품. 또는 그런 일을 의미합니다.
아래는 부의, 근조, 조의의 한자입니다. 봉투 앞면에 쓰시면 됩니다.
다운로드도 가능하니 아래를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주의할 점은 '부의'와 '조의'에서 사용하는 '의'의 한자가 다르다는 점입니다. 부의는 '거동 의(儀)'를 사용하는 반면, 조의에서는 '뜻의(意)'자를 사용합니다.
부의, 조의, 근조 차이
부의, 조의, 근조 모두 비슷한 의미를 가지고 있는 유의어 입니다. 따라서 봉투에 쓰는 한자로 모두 사용이 가능하지만 보통은 부의를 가장 많이 사용합니다.
부의
부의(賻儀)는 한자로 부의 부(賻)와 거동 의(儀)를 사용합니다. 부의는 표준국어대사전에서는 상가에 부조로 보내는 돈이나 물품. 또는 그런 일.이라고 명시하고 있습니다.
조의
조의(弔意)는 한자로 조상할 조(弔), 뜻 의(意)를 사용합니다. 조상하는 뜻을 나타낸다는 의미로 표준국어대사전에는 '남의 죽음을 슬퍼하는 뜻'으로 명시하고 있습니다.
근조
근조(謹弔)는 한자로 삼갈 근(謹) , 조상할 조(弔)를 사용합니다. 삼가다는 몸가짐이나 언행을 조심하다는 의미이며, 조상하다는 슬퍼하는 뜻을 드러내어 상주를 위문하다는 의미입니다.
결론적으로 근조의 의미는 몸가짐이나 언행을 조심하여 슬퍼하는 뜻을 드러내어 상주를 위문한다는 의미입니다.
'깨알 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모바일 신분증 발급방법 1분완료 (0) | 2024.06.01 |
---|---|
내로남불 뜻 (0) | 2024.05.31 |
원영적사고 뜻 럭키비키 (0) | 2024.05.26 |
만 나이 계산기 총정리 (0) | 2024.05.22 |
유튜브 바로가기, 유튜브 홈페이지 바로가기 (0) | 2024.05.10 |